댓글 0개
로그인 하시면, 판례 댓글을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
▒ 강정훈 감정평가사 법학박사 행정법 보상법규 박문각 | 2022-09-20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당사자 일방이 상인인 경우2017다242232
선고 2017다242232[손해배상(기)] 【판시사항】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참조판례】 대법원 1997. 8. 26. 선고 97다9260 판결(공1997하, 2828), 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2다6760, 6777 판결...
▒ 수험서 전문서점 / 스프링분철 / 빠른 배송 | 2024-07-09 263일 전
[변호사.법무사]상법 판례강의 / 무지개BOOKS, 하영태
[변호사.법무사]상법 판례강의 정가 17,000원 판매가 16,150원 적립금 485원 저자 하영태 출판사... 29.2017다3222) / 28 ➋ 상법 제341조의 의미와 자기주식취득의 허용범위 및 요건(대판 2021.10.28....
▒ 법률사무소 인사이트 | 2024-01-18
상대방의 보증채권 청구에 대하여 소멸시효를 주장하여 방어를...
대법원 판례입니다.(대법원 2022. 7. 14. 선고 2017다242232 판결). 사안의 경우, 피상속인이 상대방으로부터 돈을 빌릴 당시 개인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었고, 사업체 운영 자금 명목의 돈이 필요해서 상대방으로부터...
▒ 랜드프로 경매프로 | 2023-12-31
토지보상법 협의취득 사법상 매매계약, (보조적) 상행위인...
선고 2017다265389 판결 등 다수). ⇒ 대상판결도 “토지보상법에 의한 협의취득은 사법상의 매매계약에 해당한다.”고 종전의 법리를 다시 확인함 ○ 한편, 대법원 판례는 구 한국토지공사법에 따라 설립된...
▒ 상원서점 / 법학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감평사 신간 | 2024-09-19 191일 전
2025 법원직 상법 (총칙 상행위 회사법) / 문승진 / 법학사
같이 판례를 추가하였습니다. 영업양도(대법원 2022.6.9. 선고 2018다228462, 228479 판결). 영업양도(대판 1992. 8.18. 91다14369). 상사사효(대법원 2022.7.14. 선고 2017다242232 판결). 운송주선인(대법원...
▒ 김민지 변호사, 법무법인 두우 | 2022-08-04
토지보상법에 따른 협의취득 후 채무불이행 또는 손해배상청구시
선고 2010다91206판결 등 참조)는 것이 확립된 판례에 해당합니다. 즉 토지보상법에 따라 협의취득으로... 선고 2017다242232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이라...
▒ 박현수 메타법무사 공인중개사 경영지도사(재무관리) | 2022-09-10
대법원 판례속보 대법원 2022. 8. 31. 선고 중요판결 요지...
판례공보 요약본 작성일 2022-09-08 첨부파일 2022f0901pa(요약본).hwpx, 2022f0901pa(요약본).pdf, 내용 [민사] 2022. 7. 14. 선고 2017다213289 판결 〔손해배상(기)〕 1569 2022. 7. 14. 선고 2017다242232 판결 〔손해배상(기)...
▒ 법무사 유영형 사무소 | 2022-09-11
[법률공부/민법] 소멸시효 요건사실(대상적격/기산점/시효기간)
10년이다(판례). ➄ 항변권(동시이행의 항변권, 보증인의 최고검색의 항변권) ➙ 상대방이 청구권을... 7.14 2017다242232] ◉ 매매계약/상행위 ➨ 5년(상사소멸시효) 매매계약이 상행위에 해당하는 경우...
▒ 용봉서적(ybbook)/우체국 당일발송,스프링 분철 | 2022-12-27
상법총칙.상행위법[제6판], 김정호, 법문사
사례(2017다242232) 등이 그들이다. 그 외에도 유치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민법 제321조는 상사유치권에도 적용된다는 판례(2018다301350), 상법 제56조와 관련하여 민법 제467조 제2항상의 ‘현 영업소’에는...
|
[ 소송경과 ]
[ 참조판례 ] [ 참조판례 체계도 ] -
[ 법무법인 태그] [ 사건명 태그] [ 참조조문 태그 ] [ 유사 판례 ]
보험계약자가 다수의 계약을 통하여 보험금을 부정 취득할 목적으로 체결한 보험계약이 민법 제103조에 따라 무효인 경우, 보험금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상법 제64조를 유추적용하여 5년의 상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상행위인 계약의 무효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10년) /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상행위인 계약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급부 자체의 반환을 구하는 것으로서 법률관계를 상거래 관계와 같은 정도로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5년의 상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 이러한 법리는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보험사고의 발생을 가장하여 청구ㆍ수령된 보험금 상당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1] 일방적 상행위 또는 보조적 상행위로 인한 채권도 상법 제64조의 상사시효가 적용되는 상사채권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및 상행위인 계약의 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이 상법 제64조의 상사시효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적극)
[1] 한국토지공사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택지개발사업 지구 내 토지에 관하여 토지소유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행위가 상행위인지 여부(소극)
당사자 일방이 수인이고 그중 1인에게만 상행위가 되는 경우, 전원에 대하여 상법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 공유하기 ] ![]() ![]() ![]() |